양육3 [육아] 창의력, 세상을 보는 눈을 바꿔라 창의력, 물음표에서 느낌표로!‘창의력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아니라,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이다.’단순 지식 정보를 습득하는 시대에서,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스스로 해답을 내놓아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아이가 가진 수많은 물음표를 느낌표로 만들어 보자 시대가 변하다 21세기 특징은 불확실, 복잡, 빠른 변화이다. 예전 성공 방식이 더 이상 지금 시대에 맞지 않는 일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기존에 방식만 고수했던 많은 기업들은 하루아침에 사라지기도 했다. 기업뿐이랴. 변하는 시대에 따라 인재의 양상도 바뀌었다. 바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람이다.예전 교육과정은 정확하고 빠르게 암기하고 문제를 푸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하지만 지금은 지식을 제대로 이해하고, 통합적으로 사고하며, 창의.. 2025. 4. 22. [자기주도성]스스로 선택하는 힘, 자기주도성 키우기 2024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것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학습자 주도성이다. 아이가 주체가 되어 학습을 이어나가야 한다. 그런데 이 능력은 한순간 연습으로 생겨날 수 없다. 어린 시절부터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연습을 해야 한다.스스로 선택하기 외출을 할 때도 옷, 모자, 양말, 가방, 신발까지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도록 도와주자. 부모는 제안을 할 수 있지만 강요는 할 수 없다. 자기주도성을 키우는 습관기다려 주기 아이는 아직 모든 게 서툴다. 엄마보다 느리고, 시야도 좁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에게 필요한 것은 아이를 기다려 주는 마음이다. 아이가 하는 것을 게으른 눈으로 바라봐야 한다. 오히려 빠릿빠릿한 엄마가 아이의 자기주도성을 못 키워줄 수 있다. - 마음을 가라앉히고 상황을 살펴요- 충동보다는.. 2025. 4. 7. [애착]태어나서 만 3세까지, 애착 형성 어떻게 하고 있나요? 아이는 태어나고 얼마 후 부모와의 애착 형성을 해나간다. 본능적으로 애착 형성을 하기를 원한다. 주 양육자와의 애착 형성을 통해 자기 세계를 확장해 나간다. 이러한 애착 형성은 아이가 태어나고 만 3세가 될 때까지 충분히 이루어지는 게 중요하다. 아이는 부모를 자기 세계의 전부처럼 느끼는 시기이다. 아이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느껴지는 편안한 느낌을 좋아한다. 아이가 무섭거나 불안할 때, 부모의 돌봄의 손길, 목소리, 냄새, 신뢰감을 경험하고 기억한다. 이러한 애착 형성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탐구하고 탐색할 수 있다. 아이가 가진 두 가지 마음아이에게는 두 가지 마음이 있다. 자기 주변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이다. 이 두 가지 마음이 충돌하는 시기를 겪는데, 아이는 자기 주변을 탐구하다가 놀라는 일이.. 2025. 4.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