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암슨을 생각하면 어떤 게 떠오르는가? 무불흥현으로 외워도 괜찮다.
하지만 스토리로 이야기 하면 어떨까
외국인 용병 야구선수가 떠오른다. 그 야구 선수는
윌리암슨이라는 야구선수가 있었어. 그 사람은..
무 서웠어. 야구장에 가는 게 말이야. 왜냐하면 거기 경기장에
불 이났거든
흥 하고 불을 꺼보려 콧바람을 많이 불었는데 그만
현 기증이 나서 쓰러졌어.
주요 핵심 내용
Williamson(윌리암슨)이 분류한 직업선택의 주요 문제영역은?
ᄀ 무선택(선택하지 않음)
직업 선택을 못한 학생들은 보통 ’아직 결정을 하지 못했다’고 이야기 하는데, 이들은 진로선택과 관계없는 흥미거리에 주로 관심을 쏟고 있는 경우가 많다.
ᄂ 불확실한 선택(진로선택 불확실, 직업선택에 대한 확신부족)
자기 선택에 대한 확신이 없다. 여러 원인이 있는데, 섣부른 선택, 교육수준의 부족, 자기 이해의 부족,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부족, 실패에 대한 두려움, 친구와 가족에 대한 걱정, 자신의 적성에 대한 불안 등의 요인 때문이다.
ᄃ 현명하지 못한 선택(우둔한 선택, 어리석은 선택)
내담자가 충분한 적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직업을 선택. 적성과 동떨어진 선택, 자신의 성격과 맞지 않은 선택 등을 한다.
ᄅ 흥미와 적성의 차이(모순)
내담자의 적성이 보다 덜 요구되는 직업 또는 내담자의 능력 수준 이하의 직업에 대해 관심을 보이며, 단지 다른 분야들에 있어서의 똑같은 수준의 능력과 흥미를 의미한다.
1. Williamson이 분류한 직업선택의 주요 문제영역이 아닌 것?
① 직업 무선택
② 직업선택의 확신 부족
③ 정보의 부족
④ 현명하지 못한 직업선택
11. 다음 중 윌리암슨(Williamson)이 분류한 진로선택의 문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직업선택의 확신부족
② 현명하지 못한 직업선택
③ 가치와 흥미의 불일치
④ 직업 무선택
18. Williamson의 변별진단에서 4가지 결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직업선택에 대한 확신 부족
② 직업 무선택
③ 정보의 부족
④ 흥미와 적성의 모순
38. 다음은 Williamson이 분류한 진로선택 문제 중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가?
동기나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고도의 능력 이나 특수한 재능을 요구하는 직업을 선택 하거나, 흥미가 없고 자신의 성격에 맞지 않는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 또는 자신의 능 력보다 훨씬 낳은 능력을 요구하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안정된 직업만을 추구하는 경우
① 직업선택의 확신 부족
② 현명하지 않은 직업선택
③ 직업 무선택
④ 흥미와 적성의 모순
특성-요인 이론 주요 내용
1. 개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의 집합이다.
2. 모든 직업은 그 직업에서 성공을 하는데 필요한 특성을 지닌 근로자를 요구한다.
3. 직업의 선택은 직선적인 과정이며 매칭이 가능하다.
4.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요구 간에 매칭이 잘 될수록 성공의 가능성은 커진다.
5. ‘직업과 사람을 연결시키기’라는 심리학적 관심을 대표한다.
6. 특성-요인 직업상담에 있어서 상담자의 역할은 교육자의 역할이다.
7. 미네소타 대학의 직업심리학자들이 이 이론에 근거한 각종 심리검사를 제작하였다.
8. 내담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기술과 사회적 적응기술을 알려주는 것을 중요시한다.
9. 사례연구를 상담의 중요한 자료로 삼는다.
10. 직업선택을 일회적인 행위로 간주한다.
11. 모든 사람에게는 자신에게 옳은 하나의 직업이 존재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 이론이다.
12. 심리검사이론과 개인차 심리학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직업상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리로 외우는] 생애진로사정의 의미(진전강요) (0) | 2025.04.19 |
---|---|
인지적 명확성의 문제와 특성 해결방법 (1) | 2025.04.18 |
롭퀴스트와 데이비스의 이론(직업적응이론에서 적응양식의 차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 2025.04.16 |
보딘(Bordin)이 제시한 상담자의 반응 범주 (0) | 2025.04.16 |
직업상담사 2급 필기 합격 하기(시험 개요, 학습 방법) (2)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