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과 글11

[말/글]호랭이? 가랭이? 애기? ㅣ모음 역행동화 알아보기 ㅣ 모음 역행동화란?아기는 표준어, 애기는 비표준어이다. 아기/애기, 호랑이/호랭이, 아비/애비, 어미/애미 등 뒤에 나오는 소리가 앞에 나오는 소리에 영향을 준다. 뒤의 ㅣ모음이 앞말에 영향을 미쳐 ㅣ모음을 한번 더 소리나게 하는 현상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 앞뒤의 두 소리가 같아지는 현상을 나타난다. 즉 뒤에 ㅣ의 영향을 받아 앞에도 ㅣ와 비슷해지는 현상이다. 아기에서 뒤에 기의 ㅣ가 앞에 영향을 주어 애기가 된다는 말이다.   아기-애기먹이다-멕이다고기-괴기죽이다-쥑이다가랑이-가랭이빨강이-빨갱이구더기-구데기  “우리말법 ㅣ모음역행동화 인정하지 않는다."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ㅣ모음 역행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즉 애기, 멕이다, 빨갱이, 호랭이는 틀린 말이다. 그런데 예외적으로 시골내기,.. 2025. 4. 2.
[말/글]좋은 글쓰기? 단어를 정확하게!(호떡, 호두, 호밀의 유래) 좋은 글쓰기란 무엇일까? 적재적소에 쓰이는 단어가 탄탄할 때 좋은 글이라 할 수 있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늘 단어의 의미, 배경, 어원을 공부하는 게 필요하다. 조금 서툴게 한국말을 하는 외국인을 만났을 때, 상대가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는 할 수 있다. 하지만 뭔가 어색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다. 대충 무슨 의도인지 아는 것을 넘어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단어를 사용하는 게 중요하다.  호떡, 호두, 호밀은 다 우리나라 것이 아니다?‘호’는 오랑캐를 뜻하는 한자 ‘胡’다. 호떡, 호두, 호밀, 호박 등은 모두 오랑캐를 뜻하는 ‘胡’다. 또한 옷에 있는 호주머니도 마찬가지다. 우리 전통 옷에는 호주머니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호빵은 오랑캐와 관련이 없다. 호빵을 처음 제작한 .. 2025. 4. 2.
[말/글] 글 고치기, 교정 교열의 시작 모든 글의 초고는 끔찍하다.고 말한 헤밍웨이의 말을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글쓰기의 과정 대부분은 글 고치기이다. 위대한 글은 위대한 고쳐쓰기에서 비롯된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 글을 어떻게 고칠까 3가지를 기억하자. 맥락을 이해하자 글을 고치는 것을 교정 교열이라고 한다. 교정 교열은 단순히 단순히 오탈자를 잡아내는 일을 넘어서 저자의 의도와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너밖에 없다'와 '너 밖에 없다'는 말은 둘 다 정확한 문장이다. 하지만 전혀 다른 뜻을 내포한다. 너밖에 없다는 내 인생에서 너뿐이다란 말로 해석된다. 반면 너 밖에 없다는 너가 밖에 없고 안에 있다는 말이다. 이렇듯 저자의 정확한 의도와 맥락을 이해해서 글을 고쳐야 한다. 아는 만큼 고칠 수 있다 좋은 글 고침은 앎에서 시작한다. 글.. 2023. 2. 22.
[말/글] 논리적 말하기(feat.프레젠테이션 면접 합격하기) 말을 조리 있게 잘하는 사람의 특징은 무엇일까? 바로 논리의 흐름이 잘 이어진 말을 한다는 것이다. 흔히 아는 '기-승-전-결'의 방식, '서론-본론-결론'을 흐름으로 가져가는 것 모두 논리 구조를 잘 잡는 기술들이다. 말하기에 대해서 조금만 연습해 보면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다. 1. 말빨에는 한계가 있다 말빨에는 분명 한계가 찾아온다. 말 잘하는 사람의 특징으로 언어적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꼽는 경우가 있다. 말에 있어 개인기가 뛰어나고, 같은 말을 재미있게 하고, 말에 자신감이 있다. 하지만 아무리 언어의 재능이 있는 사람일지라도 준비되지 않은 채 대중 앞에 선다면 멘붕에 빠질 확률이 높다. 프레젠테이션, 강연 등은 말빨로 대처하기에 한계가 있다. 2. 말의 논리 구조 확립 말은 나열식 구조이.. 2023. 2. 21.
[말/글]말을 논리적으로 하는 방법 말을 논리적으로 잘 하는 팁이 있을까? 왜 어떤 사람의 말은 기억에 잘 남을까? 지루할 것만 같은 내용도 누가 말하냐에 따라서 느낌이 확 달라진다. 당신의 말하기를 매력적으로 만들어줄 논리적 말하기 포인트에 대해 알아보자 사람은 평생 얼마나 많은 말을 하고 살까. 어떤 일을 하든 어떤 곳에서든 '말'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다양한 사람이 있듯 말하기 실력도 천차만별이다. 천성적으로 말하기 능력이 타고난 사람도 있지만, 누구나 연습을 통해 실력을 키워나갈 수 있다. 특히 사람들 앞에서 강의를 하거나 누군가를 설득할는 일을 한다면 말하기 기술을 배워나갈 필요가 있다. 말하기 스킬에 관심을 갖고 연습하고 거기에 몇 가지 기술적인 요소를 더할 때, 매력적인 말하기가 될 수 있다. 1.흔히 하는 실수를 .. 2023.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