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래2

[말/글]도긴개긴? 도찐개찐? 난다 긴다?(유래를 알아야 보인다) 하나의 단어를 배울 때는 그 단어와 연관된 내용을 많이 알아야 한다. 즉, 그 단어와 관련된 유사어나 반의어, 관련 표현, 유래나 문화적 배경, 숨겨진 뜻까지 함께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어 하나를 깊이 이해하면, 그 단어와 연결된 표현이나 글쓰기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기 때문이다.  윷놀이에서 유래한 말도긴개긴은 윷놀이에서 비롯된 단어이다. 윷놀이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우리 조상들이 즐겨온 오래된 민속놀이이다. 오랜 세월 이어진 윷놀이 덕분에 여러 표현들이 일상생활에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오늘 난다 긴다 하는 선배들이 다 모였어”라는 표현이 있다. 여기서 난다 긴다는 말 그대로 날아다니다, 기어다니다는 뜻이 아니다. 잠깐만 생각해 보아도 나는 것은 좋은데, 기는 것은 별로지 않은가?  난다.. 2025. 4. 8.
[말/글]좋은 글쓰기? 단어를 정확하게!(호떡, 호두, 호밀의 유래) 좋은 글쓰기란 무엇일까? 적재적소에 쓰이는 단어가 탄탄할 때 좋은 글이라 할 수 있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늘 단어의 의미, 배경, 어원을 공부하는 게 필요하다. 조금 서툴게 한국말을 하는 외국인을 만났을 때, 상대가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는 할 수 있다. 하지만 뭔가 어색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다. 대충 무슨 의도인지 아는 것을 넘어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단어를 사용하는 게 중요하다.  호떡, 호두, 호밀은 다 우리나라 것이 아니다?‘호’는 오랑캐를 뜻하는 한자 ‘胡’다. 호떡, 호두, 호밀, 호박 등은 모두 오랑캐를 뜻하는 ‘胡’다. 또한 옷에 있는 호주머니도 마찬가지다. 우리 전통 옷에는 호주머니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호빵은 오랑캐와 관련이 없다. 호빵을 처음 제작한 .. 2025.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