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상담사

스토리로 외우는 Williamson-윌리암슨의 진로 상담 과정

by 반의반고흐 2025. 4. 21.

 

 

윌리암슨은 야구선수인데, 어떤 특성이 있었어. 그게 KBO에서 문제가 되었는데… 이걸 가지고 단장이랑 진로 상담을 하게 돼.
그 특성이 뭐냐면…원래 송진가루를 뭍혀야 하는데, 분종진 가루를 뭍힌다는 거야.. 그래야 자기 예상대로 욱! 꽂힐 수 있다나 뭐라나… 그런데 분종진 가루는 사용 불가였거든.. 그래서 윌리암슨은 고민에 빠지게 되고 자기 친구 파슨스를 찾아가지..

 

윌리암슨의 진로상담 과정
-윌리암슨은 상담과정을 분석-종합-진단-처방-상담-추후상담의 여섯 단계로 구분

구분
내용
분석
1. 내담자의 현재 상태 및 미래의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적절한 측정기술을 선택, 활용하여
   신뢰할 수 있고 타당성이 있는 정보와 자료를 모으는데 초점


2. 개인에 관한 자료수집(누가기록, 면접, 시간 할당표, 자서전, 일화 기록), 적성, 흥미, 동기 등의 요소들과 관련된
    심리검사 사용
종합
1. 일단 자료가 수집되면 상담자는 내담자의 강점과 약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자료를 요약하고 종합
진단
1. 종합단계에서 얻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고 문제의 원인을 탐색하는 단계
2. 진단의 주요단계는 첫째는 문제의 확인, 둘째는 원인 발견이다. 진단할 때 주의할 점은 성급한 결론을 내려서는 안 됨
처방
(예후, 처치)
1. 선택한 대안들을 평가하고 앞으로의 성공 여부를 예측
2. 진단은 과거와 현재의 상태에 관련된 것인 반면, 예후는 미래와 연관된 것으로 일정의 예언을 시도
상담
1. 분석, 종합, 진단, 처방 과정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기본으로 미래 혹은 현재에 해결해야 할 대안에 대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함께 논의
추후지도
(추수지도)
1. 결과과정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위의 단계를 반복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도움

 

 

 

2. Williamson의 특성-요인 진로상담 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진단단계                      ㄴ. 분석단계
ㄷ. 예측단계                      ㄹ. 종합단계
ㅁ. 상담단계                      ㅂ. 추수지도단계

① ㄱ → ㄴ → ㄷ → ㄹ → ㅂ → ㅁ   
② ㄱ → ㄷ → ㄴ → ㄹ → ㅁ → ㅂ 
③ ㄴ → ㄱ → ㄹ → ㄷ → ㅂ → ㅁ 
④ ㄴ → ㄹ → ㄱ → ㄷ → ㅁ → ㅂ   


3. Williamson의 특성-요인 직업상담의 단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분석       ㄴ. 종합
ㄷ. 진단        ㄹ. 예측 
ㅁ. 상담         ㅂ. 추수지도

①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② ㄷ → ㄱ → ㄴ → ㅁ → ㄹ → ㅂ 
③ ㄴ → ㄱ → ㄹ → ㄷ → ㅁ → ㅂ 
④ ㄱ → ㄷ → ㅁ → ㄴ → ㄹ →  ㅂ


9. 특성-요인 직업 상담과정의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ㄱ: 종합                  ㄴ: 진단 
ㄷ: 분석                  ㄹ: 상담 또는 치료
ㅁ: 사후지도          ㅂ: 예측
① ㄷ→ㄱ→ㄴ→ㅂ→ㄹ→ㅁ

② ㄷ→ㄴ→ㅂ→ㄱ→ㄹ→ㅁ

③ ㄷ→ㄹ→ㄴ→ㄱ→ㅂ→ㅁ

④ ㄷ→ㅂ→ㄴ→ㄱ→ㄹ→ㅁ


4. 특성 - 요인 직업상담의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분석   ㄴ. 종합   ㄷ. 진단   ㄹ. 예측   ㅁ. 상담
① ㄱ → ㄴ → ㄷ → ㄹ → ㅁ
② ㄷ → ㄱ → ㄴ → ㄹ → ㅁ
③ ㄱ → ㄴ → ㄷ → ㅁ → ㄹ 
④ ㄱ → ㅁ → ㄷ → ㄹ → ㄴ 

 

 


윌리암슨 참고

 

Williamson(윌리암슨)이 분류한 직업선택의 주요 문제영역은

ᄀ 무선택(선택하지 않음)

직업 선택을 못한 학생들은 보통 ’아직 결정을 하지 못했다’고 이야기 하는데, 이들은 진로선택과 관계없는 흥미거리에 주로 관심을 쏟고 있는 경우가 많다.

 

ᄂ 불확실한 선택(진로선택 불확실, 직업선택에 대한 확신부족)

자기 선택에 대한 확신이 없다. 여러 원인이 있는데, 섣부른 선택, 교육수준의 부족, 자기 이해의 부족,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부족, 실패에 대한 두려움, 친구와 가족에 대한 걱정, 자신의 적성에 대한 불안 등의 요인 때문이다.

 

ᄃ 현명하지 못한 선택(우둔한 선택, 어리석은 선택)

내담자가 충분한 적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직업을 선택. 적성과 동떨어진 선택, 자신의 성격과 맞지 않은 선택 등을 한다.

 

ᄅ 흥미와 적성의 차이(모순)

내담자의 적성이 보다 덜 요구되는 직업 또는 내담자의 능력 수준 이하의 직업에 대해 관심을 보이며, 단지 다른 분야들에 있어서의 똑같은 수준의 능력과 흥미를 의미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