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이고(讀而考)란 책을 읽은 후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책은 재료일 뿐 그 내용이 내 안에 녹아드는 과정은 오롯이 책을 덮은 후 시작된다. 많은 부모가 책을 몇 권 읽었는지만 중요하게 생각한다. '독서는 좋으니 그냥 많이 하면 좋겠지'라는 마음으로 무작정 책의 권수만 늘려나간다. 하지만 책을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책을 덮고서야 이루어진다.
대화, 독후 활동의 끝판왕
대화는 인간이 숨 쉬고 있는 한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대화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일상 언어만을 사용하는 일반 대화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책을 통한 대화하는 것은 조금 다르다.
책을 읽은 후 부모와 함께 대화하며 듣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아이는 성장할 수 있다. 또한 평소 쓰지 않는 어휘를 사용하기도 하고, 대화의 주제도 수준 높아진다. 아이가 경험하지 못한 이야기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따라서 책을 읽고 하는 대화는 다른 어떤 독후활동보다 훌륭하다.
대화를 할 때 꿀팁을 알아보자
#1. 열린 질문은 하라!
아이와 대화를 할 때 생각을 이끌어내는 것은 쉽지 않다. 적절한 질문을 통하여 책을 읽고 나서 느꼈던 감정과 사고를 끄집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아주 기초적이지만 많이 하는 실수가 있다.
‘샘이야, 책 다 봤구나~ 잘 했네. 재미있었어? 없었어?’
당연히 궁금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묻는 순간 아이는 본인도 인식하지 못하게 풍성한 사고를 하다가 문득 책이 재미있었는지, 없었는지를 선택하고 사고는 닫히게 된다. 닫힌 질문은 ‘Yes or No’를 묻기 때문에 풍성한 사고를 끄집어내기 어렵다.
그렇다면 효과적인 열린 질문은 어떻게 해야 할까? 손쉬운 방법은 아이와 책을 다시 펼치면서 대화를 해보자. 아이가 좋아하는 장면의 페이지를 놓고 이야기를 하는 것도 좋다. 느꼈던 감정에 관해서도 이야기를 나눠보며, ‘만약에~’라는 화법을 사용해보자. ‘만약에 신데렐라가 참지 않고 도움을 구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라고 물으며 상상도 함께 해보자.
#2. 스토리에 집착하지 마라!
대화의 주된 내용은 꼭 책의 이야기에 국한할 필요는 없다. 즉 아이에게 줄거리를 확인하거나, 구체적인 소재에 관해 굳이 확인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신데렐라가 무슨 색 드레스를 입었는지, 몇 시에 돌아가야 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다. 아이의 생각과 느낌을 기반으로 독후 활동을 이끌어주어야 한다. 유, 아동 책의 특징인 아름다운 일러스트, 풍성한 비유법과 어휘들을 함께 짚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적정 시간은 5분 ~ 10분!
5분이라는 시간은 절대 짧지 않다. 충분히 아이와 대화를 나눌 시간이 된다. 오히려 시간이 길어질수록 아이는 지칠 가능성이 높고, 마치 부모와의 독후 대화가 과제처럼 느껴져 버릴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 5분에서 10분 사이를 넘기지 않도록 하며, 일상을 이야기하듯이 책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4. 첫 술에 배 부르랴!
아이와 함께하는 독후활동에 있어 가장 기억해야 할 내용이다. 처음 독후 대화를 하면 어쩌면 아이의 단답형 대답이나 특별할 것 없는 반응에 실망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누구도 처음부터 산 꼭대기를 손 쉽게 등반하지는 못한다. 단답형 대화도, 대답의 망설임도 자연스러운 부분이다. 아이가 대답을 망설인다면 먼저 엄마의 생각을 말하면서 ‘너는 어때?’라는 질문을 활용하자. 엄마의 생각을 들려주며, 그에 따른 아이의 반응을 점차 유도해보자.
#5. 기록을 하라!
아이와의 독후 대화를 기록하여 나름의 독서 기록장을 만드는 것은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아이와의 대화, 반응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적어보자. 단, 아이가 볼 때 쓰는 것보다는 따로 기록하는 것이 좋다. 자칫 과제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록이 쌓이다 보면 아이의 누적 독서량, 영역별 반응이나 편독뿐만 아니라 보다 깊이있는 탐색까지 가능하다. 또한 아이가 독후 대화에 익숙해지고 초등학교 3학년이 넘어가는 시점부터는 짧은 문장부터 시작하여 스스로 적게끔 유도해주며, 부모가 코멘트를 달아주는 것도 함께 독서 기록장을 만드는 좋은 방법이다.
반응형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주도성]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 자기주도습관 (0) | 2023.02.14 |
---|---|
[독서] 자기주도적 책 읽기 습관기르기 (0) | 2023.02.09 |
[독서] 어휘력을 키우는 독서(feat.학교생활) (0) | 2023.02.08 |
[뇌발달] 3층의 뇌를 기억하라 (0) | 2023.02.06 |
[뇌 발달] 결정적 시기, 놓치지 말아야할 뇌 발달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