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제 다 했어?", "학습지 다했어?" 말하지 않아도 아이 스스로 공부하면 얼마나 좋을까? 알아서 척척! 해낼 수 있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 습관은 단지 공부에 국한되지 않는다. 아이의 삶 전체를 관장하고 추동한다. 이런 자기주도 습관은 어떻게 키워나가야 할까?
1. 도대체 자기주도학습이 뭔데?
‘자기주도학습’, ‘스스로 학습’, 아마 자녀를 둔 부모라면 많이 들어봤을 단어이다. 흔히 자기주도학습이라고 하면 아이 혼자 공부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자기주도학습의 진정한 의미는 스스로 학습의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며,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2.교사주도학습과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은 왜 중요할까? 같은 학습이라고 하더라도, 훨씬 더 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더 중요한 점은 아이의 학습 지속을 이끌 수 있다. 교사주도학습과 자기주도학습의 가장 큰 차이는 동기에 있다. 즉 아이가 어떤 동기로 학습하냐에 따라 학습 몰입과 지속이 달라진다.
교사주도학습은 즉각적이고 효율적일 수는 있지만 학습 몰입과 지속을 만들어 내기엔 역부족이다. 자기주도성을 갖고 공부하는 아이는 선생님의 말씀만 의지하는 수동적인 아이보다 더 효과성이 높은 학습을 할 수 있다.
아이는 학습에서 얻어지는 재미와 스스로 익힐 때의 희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적 동기가 아닌, 내적 동기로 학습을 하기 때문에 더 집중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학습은 진도를 빼기 위한 학습이 아닌, 오롯이 혼자 문제를 해결하고 탐구하는 학습으로 이어진다.
3.자기주도습관의 첫걸음은 생활에서부터
3.1. 시간 관리는 작은 부분부터 시작해보자
시간 관리는 지속적인 연습이 필요한 영역이다. 우선 짧은 시간이더라도 해야 할 일을 적어두고 언제, 어떤 순서로 할지 결정하고 실천해보자. 예습, 복습, 숙제 등 아이가 눈앞에 놓인 과제들에 우선순위를 메겨보게 하자. 또한 아이가 집중해야 하는 학습 범위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아이와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 관리는 학습과 더불어 아이가 삶을 살아갈 때 마주하는 모든 것에 적용된다. 따라서 시간 관리 역량을 차근 차근 형성하도록 지도하자
3.2. 결정권은 아이에게 넘기자
아이가 스스로 결정하게 해보자. 스스로 옷을 골라 입게 도와주고, 알림장을 보며 준비물과 책을 스스로 챙기게 해보자. 생활 속 사소한 것부터 공부 방법까지 모든 결정권을 아이에게 넘겨주고 피드백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물론 아이가 선택한 것에 따른 책임도 질 줄 아는 태도를 배우게 해주자. 스스로 선택하는 것의 즐거움을 깨달은 아이는 생활과 학습 전반에 걸쳐서 자신감이 넘치고 주도적인 아이로 성장할 수 있다.
3.3. 등교 준비는 스스로!
등교 준비는 단순히 준비물이나 책을 챙기는 것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옷차림을 바꾸거나 발표, 수행평가 연습과 같은 과정들도 포함한다. 준비가 철저하면 아침시간 분주하게 서두르지 않고 학교생활에 자신감도 생긴다. 이러한 습관은 시험이나 수행평가 등 장기적으로 치르는 과제들을 스스로 계획을 세워 잘 해결해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
3.4. 부모의 개입을 최소한으로!
아이에게 주도성이나 결정권을 주는 일은 부모에게 피곤한 일이다. 분명히 아이는 시행착오를 겪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부모가 개입해서 아이의 모든 것을 관여한다면, 실패는 하지 않겠지만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힘을 가로막는 셈이다. 아이는 실패를 수없이 많이 반복해가며, 그 경험을 토대로 성장할 것이다.
반응형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후 3개월, 터미타임(Tummy time) 어떻게 시작할까? (2) | 2025.03.31 |
---|---|
[자기주도]자기주도학습 첫 습관 기르기 (0) | 2023.10.11 |
[독서] 자기주도적 책 읽기 습관기르기 (0) | 2023.02.09 |
[독서] 어휘력을 키우는 독서(feat.학교생활) (0) | 2023.02.08 |
[독서] 독서만큼 중요한 독후활동_대화편 (0) | 202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