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 모음 역행동화란?
아기는 표준어, 애기는 비표준어이다.
아기/애기, 호랑이/호랭이, 아비/애비, 어미/애미 등 뒤에 나오는 소리가 앞에 나오는 소리에 영향을 준다.
뒤의 ㅣ모음이 앞말에 영향을 미쳐 ㅣ모음을 한번 더 소리나게 하는 현상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 앞뒤의 두 소리가 같아지는 현상을 나타난다.
즉 뒤에 ㅣ의 영향을 받아 앞에도 ㅣ와 비슷해지는 현상이다.
아기에서 뒤에 기의 ㅣ가 앞에 영향을 주어 애기가 된다는 말이다.
아기-애기
먹이다-멕이다
고기-괴기
죽이다-쥑이다
가랑이-가랭이
빨강이-빨갱이
구더기-구데기
“우리말법 ㅣ모음역행동화 인정하지 않는다."
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ㅣ모음 역행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즉 애기, 멕이다, 빨갱이, 호랭이는 틀린 말이다. 그런데 예외적으로 시골내기, 서울내기, 신출내기, 풋내기, 새내기는 예외로 두고 있다.
장이와 쟁이
ㅣ모음 역행 동화가 일어나 장이/쟁이가 생긴 형태이다. 기술자에게는 '-장이'를 쓰고 그 외에는 '-쟁이'를 쓰고 있다.
[기술자/장인]
미장이-미쟁이
대장장이-대장쟁이
간판장이-간판쟁이
[그외]
소금장이-소금쟁이
멋장이-멋쟁이
개구장이-개구쟁이
반응형
'말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글]좋은 글을 위해, 구어체와 문어체를 섞어 쓰자 (0) | 2025.04.07 |
---|---|
[말/글]매력적인 글이 갖춘 2가지 (0) | 2025.04.03 |
[말/글]좋은 글쓰기? 단어를 정확하게!(호떡, 호두, 호밀의 유래) (0) | 2025.04.02 |
[말/글] 글 고치기, 교정 교열의 시작 (0) | 2023.02.22 |
[말/글] 논리적 말하기(feat.프레젠테이션 면접 합격하기)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