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정리45 [애착]태어나서 만 3세까지, 애착 형성 어떻게 하고 있나요? 아이는 태어나고 얼마 후 부모와의 애착 형성을 해나간다. 본능적으로 애착 형성을 하기를 원한다. 주 양육자와의 애착 형성을 통해 자기 세계를 확장해 나간다. 이러한 애착 형성은 아이가 태어나고 만 3세가 될 때까지 충분히 이루어지는 게 중요하다. 아이는 부모를 자기 세계의 전부처럼 느끼는 시기이다. 아이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느껴지는 편안한 느낌을 좋아한다. 아이가 무섭거나 불안할 때, 부모의 돌봄의 손길, 목소리, 냄새, 신뢰감을 경험하고 기억한다. 이러한 애착 형성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탐구하고 탐색할 수 있다. 아이가 가진 두 가지 마음아이에게는 두 가지 마음이 있다. 자기 주변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이다. 이 두 가지 마음이 충돌하는 시기를 겪는데, 아이는 자기 주변을 탐구하다가 놀라는 일이.. 2025. 4. 5. 직업상담사 2급 필기 합격 하기(시험 개요, 학습 방법) 직업상담사 2급 준비해보자 우선 필기/실기로 나뉘는데, 필기부터 알아보자 시험 개요필기직업상담학(20문제)심리학(20문제)직업정보론(20문제)노동시장론(20문제)법규(20문제) 합격 기준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맞으면 된다.즉, 각 과목 당 8개 이상 맞추어야 한다. 직업상담사2급 시험 합격 계획하기1. 인강-채널: 열정도다리(인강)-내용: 인강을 통해서 기본 개념/기출문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활용 방법: 인강은 어디에서든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틈날 때마다 재생해서 개념을 익히자 https://www.youtube.com/@%EC%97%B4%EC%A0%95%EB%8F%84%EB%8B%A4%EB%A6%AC 열정도다리 www.youtube.com 2. 합격 공부 TIP 기출문제.. 2025. 4. 4. [인성]유아, 자존감을 위해 꼭 챙겨줘야 할 방법 아이의 자존감 형성은 수많은 경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기질이 있겠지만 외부 세계로부터 많은 자극과 상호작용을 통해 저마다 다르게 발달한다. 1. 좋아하는 게 뭐야?아이가 스스로 선택하려면, 본인이 좋아하는 것을 고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여러 상황에서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질문하고 도와주어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이가 스스로 무엇인가를 좋아하는 마음이다.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마음껏 하면서, 아이의 자존감은 올라간다. 2. 노력과 과정을 칭찬칭찬은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지만, 간혹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어떠한 결과에 대해서 칭찬을 과장되게 할 때이다. 이러한 경우 아이는 그 결과를 내어놓기 위한 행동을 할 수 있다. 결과가 아이의 자존감을 좌지우지할.. 2025. 4. 4. [인성]유아, 자존감을 높이는 첫 단추 자존감이란 자신을 존중하고 가치 있는 존재라고 인식하는 마음을 말한다. 유아의 경우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많이 받은 아이는 자존감이 높을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자존감 저하를 겪을 수 있다. 자존감이 낮은 아이는?“나는 못해”, “엄마가 해” 등 부정적으로 자기를 표현하거나, 타인의 의견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우가 지속해서 나타난다면 자존감이 어떠한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새롭게 뭔가 도전하는 것에 망설이고, 지속적인 부정적 표현을 한다면 잘 살펴보아야 한다. 나는 부족하고, 못난 아이야’라는 부정적인 자기 인식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는?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어떤 일을 하다 실패를 경험하더라도 다시 일어날 힘이 있다. 스스로 다시 할 수 있는 마음과 진취적이고.. 2025. 4. 4. [말/글]매력적인 글이 갖춘 2가지 좋은 글이란 무엇일까? 잘 읽히는 글일 테다. 전문 지식을 다루는 어려운 글들도 있지만, 대부분 우리는 누군가와 소통하기 위한 글쓰기를 한다. 자소서 역시 마찬가지다. 수백 장의 다른 글들과 차별이 되는 게 필요하다. 쉬운 글을 쓰자쉽다는 의미는 잘 읽히는 글을 말한다. 잘 읽히려면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이 좋다. 문장이 길어지면 글을 이해하기 힘들고 자칫 지루해진다. 즉 불필요한 수식어나 군더더기를 줄여야 한다. 1. 문장의 군더더기는 형용사와 부사에 있다.김훈 작가의 산문집 ‘허송세월’에 ‘형용사와 부사를 생각함’이라는 글을 보면 이에 대해 잘 나타나 있다. 글 쓰는 자가 문장을 놓아먹이면 글이 웃자라서 허해지고 이 틈새로 형용사나 부사가 끼어들어서 그 허당을 차지한다. 써나갈수록 이 허당은 더욱 헤벌.. 2025. 4. 3. [말/글]호랭이? 가랭이? 애기? ㅣ모음 역행동화 알아보기 ㅣ 모음 역행동화란?아기는 표준어, 애기는 비표준어이다. 아기/애기, 호랑이/호랭이, 아비/애비, 어미/애미 등 뒤에 나오는 소리가 앞에 나오는 소리에 영향을 준다. 뒤의 ㅣ모음이 앞말에 영향을 미쳐 ㅣ모음을 한번 더 소리나게 하는 현상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 앞뒤의 두 소리가 같아지는 현상을 나타난다. 즉 뒤에 ㅣ의 영향을 받아 앞에도 ㅣ와 비슷해지는 현상이다. 아기에서 뒤에 기의 ㅣ가 앞에 영향을 주어 애기가 된다는 말이다. 아기-애기먹이다-멕이다고기-괴기죽이다-쥑이다가랑이-가랭이빨강이-빨갱이구더기-구데기 “우리말법 ㅣ모음역행동화 인정하지 않는다."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ㅣ모음 역행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즉 애기, 멕이다, 빨갱이, 호랭이는 틀린 말이다. 그런데 예외적으로 시골내기,.. 2025. 4. 2.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